레이블이 SWAT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SWAT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7년 11월 6일 화요일

[Tip][OpenSuSE10.3] Samba Configuration on KDE


KDE환경에서 Samba Server 설정하기 + SWAT

GSAMBAD와 같은 Samba Server를 위한 Frontend도 이미 나와 있기도 하고,
앞서 2007/06/05 - [Linux] - SAMBA 설정과 이용에서  언급했듯이 여러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물론 어떠한 방법이든 내부에서 최종적으로 하는 일은 동일하다.)

여기서 보이려는 방법은 나의 경우에서 가장 간편하다고 생각된 방법이다.

1. Menu에서 Personal Settings를 선택한다.


2. Internet & Network를 선택한다.


3. 아래 쪽의 Samba를 선택한다.


4.  Samba Server의 설정을 변경하려면 Administrator Mode를 선택해주어야 한다.


5. root password를 입력하고 계속한다.


6. Base Settings 항목이 나타난다. 원하는 대로 설정을 변경하고 apply를 누르면 적용된다.
    또한 여기에서 보안레벨을 정하게 되는 데 각자 환경에 따라 적절한 것을 선택한다.
    나의 경우 가장 일반적인 보안정책으로 생각되는 User를 선택하였다. (이렇게 하면 Samba Server에 접속하는
    이용자는 Server에 등록된 id와 password를 입력해야만 접속할 수 있다.)


7.  Shares항목에서는 공유되고 있는 목록을 보여준다. 목록의 기존공유를 편집하거나 새 공유 추가, 공유제거 등
    의 작업을 할 수 있다.


8. Samba를 사용할 사용자를 등록한다.


9. DOS charset을 CP949로 바꾸어 주었다.(CP949는 euc-kr을 포함하는 MS의 확장완성형 문자 인코딩)


10. 부팅시 Samba를 기동시키기 위하여 Runlevel을 수정한다.


11. smb와 nmb service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12.  SWAT는 xinetd를 통해 구동되게 된다.

만약 Firewall이 기동되어 있다면 Samba Server를 위한 Port를 열어 주어야 한다.
위 그림에 보이는 Samba Server 항목(이 안에서 여기서 설명하고 있는 대부분의 과정을 설정할 수도 있다.)에
들어가면 Firewall Settings에서 Port 열어주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의 Service Start항목을 통하여 10과 11의 과정을 간단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13.  swat service를 활성화 시킨다.


14. SWAT가 구동되면 웹브라우저에 http://localhost:901이라 입력하여 불러올 수 있다.
       (User Name과 Password를 물어오는 데 기본적으로는 root로 login한다.)


15.  SWAT에 접속한 화면이다.


16. GLOBALS 항목에서 앞서 설정했던 내용들을 볼 수 있다. 물론 여기에서 새로이 설정할 수도 있다.
      기왕에 SWAT을 사용할 거라면 위에서 설명한 3~9까지의 과정은 이곳에서 설정해도 된다.
      다만 아주 간단한  설정을 위해서라면 SWAT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17.  Username/Password를 등록한다. (다른 컴퓨터에서 이 Samba Server에 접속할 때 사용할 정보이다.)


18. Samba Server가 service되고 있는 상태를 볼 수 있다.
      설정 변경 후 여기에서 smbd/nmbd를 재시작 해줄 수 있다.


19.  동일한 네트워크에 위치하고 있는 Windows에서 네트워크 환경에 들어가면 아래와 같이
       Samba Server에 의해 공유되고 있는 자원을 볼 수 있다.
       실제로 사용하려면 17에서 설정한 정보를 사용하면 된다.



꼭 이렇게 하지 않아도 GUI환경에서 Samba Server를 필요에 맞게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편리한 것을 선택하는 것은 사용자의 몫이다. SWAT만으로도 Samba Server설정에 관한 모든 것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설정파일을 수정하고 console에서 필요한 service들을 구동시키는 작업을 한 번쯤은 해보고
GUI도구를 사용할 것을 권하고 싶다. 설정파일 안에 있는 내용들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GUI도구가
제공해주는 편리한 기능을 제대로 사용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Related Article] 2007/06/05 - [Linux] - SAMBA 설정과 이용

[Tip] SAMBA 설정과 이용


SAMBA는 Windows와 Linux간의 상호 파일과 Print 시스템을 공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Linux만으로 구성된 Network을 보는 것은 아주 드문 일이므로
이 기종 간의 Networking(Linux Server의 Resource를 Windows Client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해주고,
그 반대로도 마찬가지.)을 가능하게 해주는 SAMBA의 가치는 아주 높다고 할 수 있다.

Linux에서 대부분의 Service들은 기본적으로 Terminal에서 설정파일을 편집하고,
필요한 Command를 내려주는 방법으로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한 편으로 이러한 작업을 손쉽게 해주는 GUI Tool들이 존재한다.
두 가지 방법 중 편리하다고 느끼는 쪽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SAMBA의 경우는 하나의 가능성이 더 있는데, 바로 SAMBA Package에 포함되어 있는
SWAT(SAMBA Web Administration Tool)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SWAT을 통해 SAMBA의 모든 것을 Web-Interface에서 설정, 관리할 수 있다.
SWAT는 localhost의 tcp 901 port로 구동된다. 웹브라우저로 불러와 사용하면 된다.
각 설정 항목마다 HELP Link가 있어서 확인해가며 설정해나갈 수 있다.
Samba konfigurieren mit SWAT
삼바(TM) 설치 및 활용 가이드 열번째 판 A2

삼바 서버를 위해 구동되는 Daemon은 다음의 둘이다.
smbd      (SMB Daemon)
nmbd      (Client를 위해 NetBIOS nameserver를 지원)

inetd에 의해 Daemon을 실행시키기 위해 (이미 들어있지 않다면) 아래 내용들을
/etc/inetd.conf 에 추가시켜야 한다.
# SAMBA NetBIOS services (for PC file and print sharing)

netbios-ssn stream tcp nowait root /usr/sbin/smbd smbd

netbios-ns dgram udp wait root /usr/sbin/nmbd nmbd
이렇게 하면 시스템 시작 시 SAMBA Server가 구동된다.

Server환경은 설정 파일인 /etc/samba/smb.conf파일을 통해서 수정한다.

smb.conf example from KLDP

more..


수정을 마치고 나서는 Service를 재시작해야 변경사항이 적용된다.
# /etc/init.d/smb restart

[Related Article] 
2007/11/06 - [Linux] - [Tip][OpenSuSE10.3] Samba Configuration on K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