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7월 29일 일요일

Ethernet/IEEE 802.3

History

1973년 5월 22일 Xerox PARC(Palo Alto Research Center)에서 Robert Metcalfe 박사에 의해 최초 개발되었다. 당시 ALOHA network에 사용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는데, 첫 데이타 전송 실험에서의 전송속도는 2.94 Mbps였다고 한다.

Ethernet이라는 이름은 우주에 존재한다고 생각되는 가설의 물질인 에테르("Ether")의 이름을 따서 Robert Metcalfe 박사가 명명하였다. 에테르는 빛이 파동이라고 생각할 때 이를 전달하는 매질이 필요한데, 이 빛을 전달하기 위해 우주에 존재한다고 생각되는 물질이다.

Robert Metcalfe에 의해 1979년 설립된 회사가 3Com이다. 참고로 1976년에 Intel에서 8080 (4.77 MHz)이 처음으로 개발되었다.

1978년 Xerox, Intel, DEC에 의해 최초의 공식적인 Ethernet Spec이 마련되었는데, 이를 DIX(DEC-Intel-Xerox) Standard라고도 한다. 그리고 이어서 1980년 9월 Xerox, Intel, DEC에 의해 Ethernet version 1 표준이 발표되고 1982년 역시 Xerox, Intel, DEC에 의해 Ethernet version 2 표준이 발표된다. 이 Ethernet version 2가 IEEE 802.3의 토대가 되었으며 이 둘은 작은 차이만 있을 뿐 거의 동일하다.

IEEE는 1980년 2월 LAN의 표준 작성을 위한 "802" 그룹을 결성하는데, 이 활동의 결과로 1985년 IEEE에서 IEEE 802.3,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표준이 만들어진다.

오늘날 "Ethernet"이라는 용어는 IEEE 802.3을 포함하여 Ethernet Specification을 만족하는 모든 CSMA/CD LAN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CSMA/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CSMA/CD의 동작 방식은 아래와 같다. CSMA/CD LAN을 사용하는 장비는 언제든지 network에 접근할 수 있다. 데이타를 보내려는 장비는 먼저 network이 사용 중인지 아닌지 "listen" 한 후에 사용 중이 아니면 자신이 사용한다. network이 사용 중이면 일정시간을 기다린 후 다시 "listen"한다. 사용 중인지는 network 상으로 ethernet frame이 돌아다니는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확인할 수 있다. 만약 2 장비가 동시에 "listen"하여 network이 사용 중이지 않다는 것을 확인한 결과 동시에 전송하게 되면 "collision"이 발생한다. 이런 경우를 대비해서 frame을 전송한 장비는 자신의 frame이 깨졌는지를 확인하여 "collision"이면 재전송을 하게 된다. 이때 2 장비의 재전송이 동일한 시간 후에 일어나면 다시 "collision"이 발생하므로 재전송 시간은 일정한 방법에 의해 변경된다.

picture from 후니의 쉽게쓰는 네트워크 이야기

Ethernet/IEEE 802.3 Comparison

Ethernet과 IEEE 802.3은 모두 CSMA/CD 방식을 사용하며, broadcast network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broadcast network에서는 network 상의 모든 장비는, network 상 frame의 목적지가 자기가 아니라 하더라도, 모든 frame을 본다. 모든 장비는 이렇게 받은 모든 frame을 검사하여 목적지가 자기이면 이를 처리하고, 그렇지 않으면 frame을 버린다.

Ethernet과 IEEE 802.3의 차이는 매우 작은데, Ethernet은 OSI reference model에서 Layer 1과 Layer 2에 해당하지만, IEEE 802.3은 Layer 1과 Layer 2 중 MAC(Medium Access Control) Layer만 정의하고, Layer 2 중 LLC(Logical Link Control) Layer는 정의하지 않는다. 이 둘 모두는 NIC(Network Interface Card)의 hardware에 구현된다.

Frame Format

Fig1. Ethernet/IEEE 802.3 Frame Formats

Preamble - 7 bytes
Preamble은 ethernet/IEEE 802.3 frame의 시작을 알리는 것으로, 1과 0이 교대로 있다.
SOF(Start Of Frame) - 1 bytes
Frame의 동기화를 위한 것으로 2개의 "1" bit로 끝난다.
Destination Address, Source Address - 6 bytes
Ethernet/IEEE 802.3 frame을 전송한 장비와 받을 장비의 주소이다. Ethernet Address는 6 byte로 구성되는데, 이중 상위 3 byte는 Ethernet NIC의 vendor를 식별하는 번호로 IANA에서 정의하고, 하위 3 byte는 각 vendor가 정의한다. Source Address는 항상 unicast (single node) address인 반면, Destination Address는 unicast, multicast, broadcast address가 모두 가능하다.
Type - 2 bytes
Ethernet frame의 data 영역에 있는 packet이 어떤 프로토콜의 것인지 (ip, ipx 등)를 식별한다.
Length - 2 bytes
IEEE 802.3인 경우 이 2 bytes는 뒤의 IEEE 802.3 header와 data의 크기를 byte 단위로 표시한다.
Data
Ethernet frame에 대한 physical layer와 link layer 처리가 끝나면 이 Data에 해당하는 부분이 상위 layer로 넘겨진다. 이때 Ethernet인 경우는 앞의 Type field에 의해 상위 프로토콜을 파악하지만, IEEE 802.3인 경우에는 이 영역이 64 byte의 header와 data 영역으로 구성되는데, 이 802.3 header에 상위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가 담기게 된다.
FCS(Frame Check Sequence)
Ethernet frame의 전송 중 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이 값은 CRC(Cyclic Redundancy Check) 방법을 사용해서 계산되어 송신측에서 넣어두면 수신측에서 이 값을 통해 Ethernet frame이 깨졌는지를 검사하게 된다.

Link


출처: Sungjean's Technology Resource

댓글 1개:

  1. Ethernet의 특성상 Broadcast는 같은 Network Segment 내의 모든 Network Device에 전달된다.

    답글삭제